7월 8, 2020의 게시물 표시

[인문학강의] 정신분석학적으로 본 돈키호테, 햄릿, 그리고 파우스트 - I

이미지
https://youtu.be/gRYC3RZX_No #근대문학 #등장인물 #햄릿 #돈키호테 #파우스트 #돈주앙 #돈 지오바니 #돈 후안 #세히스문도 #괴테 #셰익스피어 #세르반테스 #산초 #서양문학사 #프로이트 #칼 융 #칼융 #정신분석 #정신분석학 #자아 #에고 #2차원 #3차원 #4차원 #단순한 의식 #복잡한 의식 #깨달은 의식 #로버트 존슨 #이상형 #성격 #이상 #이데아 #중용 #변화 #중도 #돈키호테 #햄릿 #투르게네프 #파우스트 #칼 융 #오필리아 #거투르드 #로버트 존슨 #심리학 #여성 #행동형 인간 #사고형 인간 #돈키호테형 #햄릿형 #파우스트 #괴테 #세르반테스 #셰익스피어 #러시아 #1860 #혁명 #개혁 #스페인문학 #독일문학 #영국문학 #이태리문학 #러시아문학 #인간유형 #문학과 심리학 #칼 융 #러시아혁명 #제정 러시아 혁신 #광기 #중용 #중도 #극단 #양극단 #동주 #배 #말 #현실주의자 #이상주의자 #산초 #폴로니어스 #해럴드 블룸 #독서기술 #한 배 #운명 #상생 #갈등 #의식 #화합 #항해 #운항 #좌우 #좌우대립 #우파 #좌파 #이상 #현실 #자아 #에고 #그림자 #거울보기 #구현 #모딜리아니 #엘그레코 #엘그레꼬 #티지아노 #틴토레토 #어린왕자 #Tintoretto #Tiziano #Modigliani #Expressionism #표현주의 #바로코 #매너리즘 #Manierismo #Post -Renaissance #Faust #Hamlet #Goethe #Parmigianino #파르미지아니노 #불안 #구원 #역설 #극기 #자기극복 #2차원 #3차원 #4차원 #마티스 #피카소 #후안 그리스

[연재소설] 귀향(세르반테스를 만난 조선인) / 16.자유(Libertad)

이미지
16. 자유   “ 사실 , 나라의 발전에 기여한다고 하지만 , 모든 것은 자신의 자유보다 앞설 수는 없다고 생각하오 . 노예나 속박된 상황은 인간에게 가장 비참한 삶이라고 생각하오 . 그 어떤 이유도 , 한 인간을 함부로 구속하면 안된다고 생각하오 . 난 , 그들이 비록 조선으로 돌아가지 않았더라도 , 일본을 빠져나와 자기 의지대로 삶을 영위할 수 만 있었다면 , 그것이 최고의 가치라고 생각하오 .” “ 네 , 배를 타고 일본을 떠나는 것 자체가 자유였습니다 . 사실 , 저는 운이 좋아서 예수회에서 공부를 할 수 있었지만 , 조선에서 끌려간 , 정확히 말하면 짐승처럼 잡혀간 수많은 사람들의 사정은 이루 말하기 어려울 정도로 비참했습니다 . 가난이 습관화된 천민들도 있었지만 , 특히 어렵지 않게 살았던 양반들도 많이 잡혀갔습니다 . 일단 그렇게 된 상황에서는 이전의 신분을 주장할 어떤 권리도 없었습니다 . 자유가 없는 곳에 , 신분은 아무런 의미가 없는 것입니다 .” “ 전쟁은 그렇게 기존의 질서와 체제를 무너뜨리는 대사건이오 . 그것 때문에 모든 게 망가지고 , 그것 때문에 , 새로운 가능성도 열리는 것이겠지 .” “ 대부분의 조선인들은 조선과 가장 가까운 큐슈의 나고야로 이동하거나 , 나가사키 항에서 직접 노예나 노비로 팔려갔습니다 . 이미 아프리카를 통해 노예무역에 열을 올리고 있던 포르투갈은 , 아시아에서도 그 수요가 많아지자 공급처를 찾았는데 , 일본이 조선을 침략한 이유에는 , 그들에게 노예로 팔겠다는 상업적 목적도 있었던 것입니다 . 포르투갈의 상인과 일본의 상인 , 그리고 일본의 군부 , 거기에 기독교 신부들의 이해관계가 교차되면서 , 조선인은 그야말로 사냥되는 존재에 불과했습니다 . 일본은 서양 사람들을 만난 지 수십 년 만에 자신들보다 우월했던 조선을 무력으로 이길 수 있는 준비를 했습니다 . 아시아의 역사는 중국 , 고려를 거쳐 일본으로 건너갔던 것이 , 그 방향을 바꿔 서양에서 일본을 거쳐 조선으로 들어오는 첫 번째 사건이 임진왜란이라고

[DQ] 바라따리아와 유토피아

이미지
바라따리아와 유토피아 사람은 '현재보다 나은 내일'을 꿈꾼다. 현재가 힘들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그런데, 그 모델은 서양에서는 '금의 시대'(황금시대)로 잡았다. 그리고 기독교가 들어온 후에는 '천국', 또는 '에덴동산'이 그 자리를 차지했다. 금의 시대는 미래에 있을 시대가 아니라, 이미 있었던 때다. 거기서 미끌어져 내려와 지금은 '철의 시대'에 살고 있다. 그게 현실이다. 따라서, 힘든 현실은 과거 누렸던 금의 시대를 모델로 삼아, 추구하려한다. 그게 '이상'이고, '이데아'다. 이 이데아의 세계, 또는 천국은 존재했다고 믿어야 한다. 그래야, 그것을 '모방'할 수 있고, 지금보다 더 나은 세상을 만들 수 있다. 서양 문학의 대부분은 이런 이상사회에 대한 표출이다. 서양의 뿌리는 금의 시대에서나 에덴 동산에서 추방당한 일종의 콤플렉스에 빠져있으니, 내면의 세계에 이런 갈구는 당연할 지 모르겠다. 소크라테스로부터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등 서양 학문의 뿌리에서부터 이 논의는 지금까지 계속되고 있으니, 어쩌면 그 모델이 정확하지 못한 동양에 비한다면, 그쪽이 더 체계적이고 학문적이고, 현실적이란 생각이 든다. 이런 전통의 선상에 [돈키호테]라고 예외는 아니다. 말하자면 세르반테스가 생각하는 금의 시대에 대한 생각이 담겨있다. 그런데 여기서는 보다 더 현실적이다. 말하자면 지리상의 발견 후, 그리고 토마스 모어의 [유토피아] 이후, 이데아로 만 있을 것 같은 세상이 지구촌 어딘가에 있다는 사실을 인식한 것이다. 여성들 만이 만든 세계가 있었고, 모든 사람이 완전 평등한 나라도 있다고, 현장을 경험한 사람들이 말했다. 세르반테스도 그런 이야기를 많이 들었다. 특히, 아메리카로 갔던 사람들이 벼락부자가 되었다는 소리도 들었다. 그래서 그는 아메리카에 가고자 많은 시도를 했다. 그러나 실패! 결국, 그는 [돈키호테]에 모